2023년 개봉한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자연 재해로 무너진 서울 속 살아남은 이들의 이야기다. 살아남은 자들이 모여드는 황궁 아파트를 중심으로, 이 작품은 단순한 생존 그 이상의 의미를 탐구한다. 재난이 닥쳤을 때 인간은 어떻게 변할까?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 생존, 공동체, 권력, 윤리라는 묵직한 주제를 맞닥뜨린다. 이 영화는 단순한 장르영화가 아닌, 현대 사회를 관통하는 철학적 질문과 현실적인 상징으로 가득 차 있다. 관객은 단순히 감상자가 아니라, 생존의 선택 앞에 놓인 또 다른 인물처럼 느껴지게 만든다. 이 글에서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줄거리 리뷰와 결말 해석, 그리고 이 영화가 담고 있는 상징과 사회적 메시지를 중심으로 관람 포인트를 분석한다.
리뷰 포인트 ① – 생존 그 이상의 이야기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겉으로 보면 재난 이후 생존을 위한 투쟁을 다룬 영화지만, 그 안에는 훨씬 더 깊은 인간성과 사회구조에 대한 질문이 숨어 있다. 영화는 지진이라는 거대한 재난으로 시작하지만, 실제로 중심이 되는 갈등은 자연이 아니라 인간 사이에서 벌어지는 선택과 배척, 권력의 이동이다. 황궁 아파트는 서울에서 유일하게 무너지지 않은 고층 건물이다. 이곳에 거주하던 기존 입주민들은 생존자들이 몰려들자 외부인을 배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권력을 잡게 되는 인물이 바로 이병헌이 연기한 ‘영탁’이다. 그는 초기에는 안전을 위해 질서를 만들지만, 점차 권위적이고 배타적인 리더로 변모한다. 이러한 과정은 실제 사회에서 극단적인 상황이 벌어졌을 때 개인이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현실적인 묘사로 관객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우리’라는 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해 누군가를 ‘그들’로 만들고 배제해야 한다는 구조적 아이러니다. 영화는 이 과정을 ‘합리화’가 아닌 ‘반성’의 시각에서 보여준다. 우리가 옳다고 믿는 선택이 과연 윤리적으로 옳은가? 생존을 위해 정의를 포기해야만 하는가? 이러한 질문은 영화 내내 긴장감을 유지시키며, 관객으로 하여금 단순히 이야기의 전개가 아닌, 자신의 가치관을 점검하게 만든다. 또한, 캐릭터 간의 갈등 구조도 일차원적이지 않다. 선과 악이 뚜렷하게 나뉘지 않으며, 각자의 입장과 상황 속에서 내린 결정이 복합적으로 얽힌다. 이러한 다층적인 갈등 구조는 관객을 이야기의 외부가 아닌 내부로 끌어들이는 힘을 발휘하며,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단순한 재난 영화가 아님을 증명한다.
리뷰 포인트 ② – 결말의 함의와 여운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결말은 일반적인 재난 영화와는 다르다. 대부분의 재난영화가 위기 해결 혹은 전면 붕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데 반해, 이 영화는 "살아남았지만 살아있는 것 같은 느낌이 아닌", 애매한 경계에 놓인 결말을 택한다. 이것이 오히려 관객에게 더 강렬한 질문과 여운을 남긴다. 황궁 아파트는 점차 외부인을 몰아내고 내부의 질서를 강화하는 독재적 공동체로 바뀌어 간다. 이영애가 연기한 ‘명화’와 박서준이 맡은 ‘민성’ 부부는 초반엔 피해자로 보이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스스로 생존을 위해 타인을 배제하는 데 동참하게 된다. 이는 ‘선한 평범한 사람도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타락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결국 공동체는 내부의 균열로 무너지고, 권력을 쥐고 있던 영탁도 몰락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민성과 명화는 폐허가 된 도시를 걷는다. 무언가를 지켜낸 듯 보이지만, 그 실체는 모호하다. 이것은 곧 "생존했지만 무엇을 잃었는가", "우리는 유토피아를 만들었는가, 디스토피아를 받아들였는가"라는 질문으로 귀결된다. 이 영화는 해답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물음을 남긴다. 이로써 관객은 영화관을 나선 이후에도 영화의 결말을 곱씹게 된다. 이처럼 열린 결말과 상징적 연출은 단순한 시청을 넘어 사유하게 하는 힘을 지닌다. 특히 현대 사회의 집단주의, 권력, 생존윤리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아낸 결말은 이 영화를 단지 ‘볼거리’가 아닌 ‘생각할 거리’로 만든다.
리뷰 포인트 ③ – 숨겨진 의미와 상징 분석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구조적 상징과 사회적 메타포가 매우 치밀하게 설계된 영화다. 영화 제목부터가 역설적이다. 콘크리트처럼 단단하고 폐쇄적인 구조물 안에 과연 유토피아가 존재할 수 있는가? 유토피아는 상호 신뢰와 평등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영화 속 아파트는 배제와 위계로 가득 찬 디스토피아의 표상에 가깝다. 황궁 아파트라는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다. 이 공간은 한국 사회에서의 아파트라는 상징을 직설적으로 드러낸다. 높은 층은 권력의 상징이 되고, 아래층으로 갈수록 외부와의 접점이 가까워지며 불안정한 계층을 상징한다. 이런 수직적 구조는 한국 사회의 위계질서를 은유하는 장치로 읽힌다. 또한 영화는 ‘집단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폭력’을 날카롭게 비판한다. ‘질서’를 위해 외부인을 쫓아내는 장면은 이방인을 배제하는 현대 사회의 축소판과도 같다. 외부인을 적으로 규정하고 내부 질서를 유지하려는 시도는 어느새 공동체를 지키는 게 아니라, 공동체 자체를 좀먹는 행위로 이어진다. 이병헌이 연기한 영탁 캐릭터는 영화의 핵심 상징이다. 그는 권력을 쥐게 되면서 ‘영웅’에서 ‘독재자’로 변모하고, 그 과정은 무척 자연스럽고 현실적이다. 이 캐릭터를 통해 우리는 "누구나 상황에 따라 권력자가 될 수 있고, 폭력의 정당화를 경험할 수 있다"는 위험한 사실을 직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영화 속 소품과 장면들도 상징성이 크다. 예를 들어, 낡은 엘리베이터, 회의가 열리는 고층 베란다, 경비실이라는 중간 권력의 상징 등은 한국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간이지만, 이 영화에서는 ‘권력의 문지방’ 역할을 하며 사회적 메시지를 강화한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단순한 재난 스릴러가 아닌, 인간과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성찰을 담은 영화다. 생존 그 자체보다 생존 이후의 윤리, 권력, 공동체의 가치가 더 중요한 문제임을 조명한다. 현대 한국 사회를 비추는 거울 같은 이 작품은 한 번의 관람으로는 그 깊이를 다 파악하기 어렵다. 아직 이 영화를 보지 않았다면, 단순히 ‘재난영화’라는 생각은 접고, 우리 사회를 깊이 있게 들여다볼 수 있는 거울로서 이 작품을 마주하길 권한다.